본문 바로가기
Linux

홈서버 만들기 (1)

by 서어켜엉 2025. 3. 31.

집에 놀고 있는 데스크탑을 이용해서 홈서버를 만들어서 개인 블로그를 하나 만들어 보기로 했다.

 

부팅 USB를 만들어서 linux를 설치하는 방법은 구글링을 하면 쉽게 찾을 수 있었다.

기존 윈도우를 제거하고 현재 회사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익숙한 Rocky linux 9.5 를 설치했다.

대부분 docker를 사용할 계획이기에, host OS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역시 예상대로 일이 쉽게 풀릴 리가 없다.

 

네트워크 인식 문제

데스크탑이기 때문에 wifi USB를 꽂아서 사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인식이 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고 한다. (인터넷이 안되는데??)

 

그래서 본체를 들고 유선 LAN선 범위로 가서 연결을 했다. 하지만 이것도 인식이 안된다.

# ip 확인
ip a

# 최소설치로 리눅스를 설치하면 ifconfig 명령어도 없다.
# 위 명령어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해보니 DHCP 서버로 부터 ip를 할당받지 못했다.
# ens, enp, eth0과 같은 NIC에 inet xxx.xxx.xxx.xxx 가 보여야 한다.

 

chatgpt 한테 상황을 설명하니 수동으로 ip를 설정해줄 수 있다고 한다.

sudo ip addr add 192.168.75.100/24 dev enp3s0 # 내 컴퓨터 ip 수동설정
sudo ip link set enp3s0 up
sudo ip route add default via 192.168.75.1  # gateway ip

# 내 NIC의 이름은 enp3s0
# 다행히 난 게이트웨이의 ip 주소를 알고 있었다. (SKT 브로드밴드)
# 게이트웨이 ip를 모르면 구글 검색하면 보는 방법을 알려준다.

 

 

세팅을 완료하고 ping 8.8.8.8 을 해보니 인터넷이 잘 연결됐다.

이제 wifi usb 를 사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설치하자.

 

네트워크 드라이브 설치

dnf update -y

dnf install -y usbutils # USB 드라이버 관련 패키지

# usb 드라이버 확인
lsusb

# wifi usb 확인
# Realtek Semiconductor Corp. RTL88x2bu ... 확인

 

Realtek Semiconductor Corp. RTL88x2bu 에 맞는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한다. 

# EPEL (Extra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레포지토리 설치
dnf install epel-release -y

# 드라이버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 설치
dnf install -y git dkms kernel-devel kernel-headers gcc make

 

 

...

...

...

 

온갖 삽질을 해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설치했지만, RTL88x2BU 칩셋과 Rocky linux 9.5 간에 호환이 안되는 걸로 결론남.

내일은 Ubuntu로 host OS를 설치해서 다시 시도해야겠다.